전체 글

😶주저리주저리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0. 쉼표네이버 블로그에는 언급을 했지만, 12월 초에 갑자기 몸이 안좋아지면서 종강과 동시에 공부를 손에서 놨다. (사실 종강 전 몇 과목도 제대로 공부를 못했던거 같다.) 종강 후 2주 정도 정말 푹 쉬면서 몸도 많이 회복을 하게 되었고 슬슬 공부를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강의를 듣고 조금씩 공부를 시작하던 중 나는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 ‘나는 뭘 하려고, 어떠한 목표를 가자고 다시 공부를 시작하는거지?’ 8월에는 졸업프로젝트 작업이 끝나고, 9월 중순까지 성장통 프로젝트 1차 리팩토링이 끝났다. 이제 내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코테이토 홈페이지 프로젝트 하나였다.2학기에는 시간표를 잘 짜서 주3일만 학교를 가고 시간적 여유가 꽤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프로젝트 팀장한테 작업을 좀 많이 할당해..

😶주저리주저리

생각 정리를 위한 글

방치해놓은 블로그를 다시 꺼내보자. 잡다한 생각과 한숨이 깊어지는 요즘이다.방학은 2주도 채 남지 않았고 대학생으로서의 삶도 이제 1년도 남지 않았다.주변 사람들이 취업을 준비하고 사회의 일원이 되는 모습을 보여 나도 덩달아 고민이 많아지고 있다. 5월 초 코테이토 MT를 가서 오빠들이랑 진로 관해서 상담을 좀 했었는데, 그때 나한테 어떤 포스트를 읽어보라고 추천해주었다. 가장 좋아하진 않는 프로그래밍요즘 받아 보는 고민 중에 "가장 좋아하는 일이 프로그래밍이 아니다는 것을 인정하기 힘들다"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인데, 본인은 시간이 날때마다 그림을 그리는데 그 시간이 너무 재jojoldu.tistory.com  나는 어떤 사람이고 과연 무엇을 하고 싶은 걸까?왜 이 학과를 왔으며, 앞으로 어..

👥대외활동/🥔코테이토

IT연합동아리 코테이토 활동 및 회장 회고록 (8기 회고)

코테이토 10기 모집 때문에 그런지 갑자기 조회수가 확 늘었네요..조회수 뽑아 먹을 수 있는 이 기회를 놓칠 수 없지...(9기 끝나고 쓰는)  8기 회장 회고록... 저어어엉말 뒤늦게 써보겠습니다..!ㅎ9기에도 활동을 했지만, 9기에 대해서는 활동 회고보다는 프로젝트 회고를 쓰지 않을까 싶습니당~3. 코테이토 8기3-1. 기획 단계전 글에서도 계속 암시를 했지만, 2023년 9월부터 시작되는 코테이토 8기 회장을 맡게 되었다. 7기까지 코테이토는 학기를 기준으로 4개월/2개월 체제로 운영되었다. 동아리도 이제 규모가 꽤 커졌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2개월은 너무 짧다는 의견도 있었고 전 회장 언니의 뜻을 따르고 싶었기에 8기부터는 한 기수가 6개월동안 활동할 수 있게 바꾸었다. 학창시절에 회장단을 빼..

👩🏻‍💻개발/Spring

[TroubleShooting] GitHub Actions CI/CD

0. 시작 전지난 학기 소프트웨어공학 수업에서 DevOps에 대해 공부를 하며 CI/CD에 대해 알게 되었다. CI/CD는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적 배포 (Continuous Deployment 또는 Continuous Delivery)의 약자다. 즉, CI는 빌드/테스트 자동화 과정이고 CD는 배포 자동화 과정이다. CI/CD를 도입하게 되면 개발팀은 개발에 집중할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I/CD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졸업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s를 사용하는데 매우 편리하다는 얘기를 듣고 나도 이번 프로젝트에 깃허브 액션을 도입하게 되었다. 깃허브 액션은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CI/CD 플랫폼으로 이를 사용하면 빌..

📚CS/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6장.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6.1 RAM의 특징과 종류RAM의 특징RAM은 실행할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가 저장된다. RAM은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RAM에 저장된 명령어와 데이터가 사라진다. 이를 휘발성 저장 장치(Volatile Memory)라 한다. 하드 디스크, SSD 등 보조기억장치를 비휘발성 저장 장치(non-Volatile Memory)라 한다. 일반적으로 보조기억장치인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는 보관할 대상을 저장하고, 휘발성 저장 장치인 RAM은 실행할 대상을 저장한다.RAM의 용량과 성능RAM의 용량이 크면 많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빠르게 실행하는 데 유리하다.RAM의 종류1. DRAMDRAM은 Dynamic RAM의 준말이다. DRAM은 저장된 데이터가 동적으로 사라지는 RAM을 의미하는데, 데이터의 소멸을 ..

📚CS/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5장. CPU 성능 향상 기법

5.1 빠른 CPU를 위한 설계 기법클럭클럭 속도가 높은 CPU는 일반적으로 성능이 좋다.그러나, 클럭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CPU는 계속 일정한 클럭 속도를 유지하기보다 필요에 따라 클럭 속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최대 클럭 속도를 강제로 더 끌어올릴 수도 있는데, 이런 기법을 오버클럭킹이라고 한다.코어와 멀티코어코어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이고, CPU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을 여러 개 포함한 부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코어를 여러개 포함하고 있는 CPU는 멀티코어 CPU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라고 부른다.코어를 늘리면 좋지만, CPU의 연산 속도가 꼭 코어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적절히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스레드와 멀티스레드스레드는 실행 흐름의 단위이다.스레드에는 CPU에서 사..

📚CS/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4장. CPU의 작동 원리

4.1 ALU와 제어장치ALU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드리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드린다. ALU는 연산한 결괏값과 플래그를 내보낸다. 연산에 수행한 결과는 CPU가 외부에 있는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보다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바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아닌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된다. 플래그란 연산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플래그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제어장치제어장치는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부품이다.제어 신호는 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일종의 전기 신호다. 제어장치가 받아들이는 정보1) 제어장치는 클럭 신호를 받아들인다.여기서 클럭은 컴퓨터의 모든 부품을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

바규냐하
컴공생의 아둥바둥 일기